생활속 유용한 팁!

중도퇴사자 2025년(24년귀속) 연말정산 방법 총정리

푸드큐레이터 2025. 1. 19. 19:20
반응형

중도 퇴사자의 연말정산은 일반적으로 퇴사 시점에서 정산을 완료하기 때문에, 연말까지 근무한 경우와 조금 다릅니다.

다음은 중도 퇴사자의 연말정산 방법에 자세히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도퇴사자의 연말정산은 퇴직 시점이 중요한 시기이다.

중도퇴사자의 연말정산

  • 퇴사 시점에 회사가 퇴사일까지의 소득과 공제를 기반으로 연말정산을 처리합니다.
  • 퇴직할 때 회사에서 지급한 마지막 급여에 근로소득세와 각종 공제를 반영해 정산을 마무리 합니다.
  • 회사는 이를 바탕으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합니다.
  • 퇴사한 회사에서 따로 받은 원천징수영수증이 없다면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발급받는 것이 가능하니 확인하시고 홈택스에서 발급받아보세요.

 

 

중도퇴사 이후 다른 회사로 이직한 경우

반응형
  • 퇴사 이후 새로운 회사에 입사해 소득이 발생하면, 새로운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진행해야 합니다.
  • 이전 회사에서 발급받은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새로운 회사에 제출하여 통합 소득 기준으로 정산합니다.
  • 추가로 발생한 소득이나 공제 항목을 종합적으로 반영합니다.

 

 

 

중도퇴사 이후 따로 이직하지 않은 경우(무직, 백수)

  • 퇴사 이후 연말까지 새롭게 입사하지 않은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스스로 정산해야 합니다. 
    • 신고 기간: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신고 방법: 국세청 홈택스에서 직접 신고.

 

 

 

 
  • 필요 서류:
    • 퇴사 시 받은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 공제에 필요한 증빙 자료 (의료비, 교육비, 보험료, 기부금 등).
    • 소득·세액공제와 관련된 기타 증빙 자료.

 

 

중도퇴사 이후 창업을 한 경우

  • 전 근무지의 근로소득과 창업 후의 근로소득을 합산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신고합니다. 
  • 전 근무지의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이 꼭 필요하니 따로 챙겨두시고 종합소득세 신고 시에 꼭 제출해 주세요.

 

결론

  • 중도퇴사자의 경우 퇴사하고 아직 쉬고있거나, 퇴사 후 다른 곳으로 이직을 한경우, 퇴사 후 창업을 한경우 이렇게 3가지로 나뉘는 것 같습니다. 본인이 어디에 속하는지 잘 확인하시고 연말정산 꼼꼼히 연말정산 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 현재 직장에 속해 있으시다면 연말정산의 경우 회사에 맡기시고 필요서류들을 현재 다니고있는 회사에 제출해 주시면 되세요
  • 퇴사 이후 따로 일을 하고 있지 않거나 창업을 하신 경우라면 지금 연말정산 신청을 하시는 거보다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 때 신고하시면 됩니다. 

 

 

월세세액 공제를 받으시려면?

회사에서 하는경우 해당 월세세액 공제를 받으실 때 필요한 서류들을 회사에 제출하시면 되고

연말정산은 회사에 맡기고 싶지만 월세세액공제는 따로 하고 싶다 하시는 분은 월세새액공제 부분만 5월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따로 해주셔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