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 유용한 팁!

자동차보험 가입시 이것 안하면 손해!! 자동차보험 가입 꿀팁1

푸드큐레이터 2025. 3. 23. 08:07
반응형

자동차보험 가입시에 유용한 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금 자동차보험 가입을 준비중이시라면 아래 내용 참고하셔서 꼭 적용하여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자동차 보험 참 어렵죠?

자동차보험꿀팁

하지만 자동차 보험에 대해 미리 준비하고 잘 알아본다면 내게 도움이 되는 여러가지 유용한 점들을 잘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1. 가입안하면 무조건 손해! 착한운전 마일리지

사고를 내거나 교통법규를 위반하면 벌점을 받게 되는데요, 반대로 교통법규를 잘 지키고 사고를 안낸다면 상점을 받을수도 있습니다. 바로 경찰청에서 등록하는 '착한운전 마일리지'라는 것인데요

아래 경찰청교통민원24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실수 있습니다.

경찰청교통민원24 사이트 바로가기

착한운전 마일리지는 차가 없어도, 운전을 현재 하지않아도 면허증만 있다면 언제든 신청이 가능하니 아래 이미지를 보시고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이글을 보셨다면 꼭 미리 신청해 두세요! 도움이 되실 거에요!

 

 

 

2. 자동차 보험 가입경력을 쌓아라!!!

 

자동차보험은 보험에 가입한 경력이 길수록 자동차 보험료가 싸집니다. 

가입 경력이 전혀 없는 사회초년생이라면 보험료가 비싸질 수 밖에 없겠죠?!

그래서 미리미리 가입 경력을 쌓아놓는게 좋습니다.

 

그럼 경력을 쌓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부모님이 가입하신 자동차보험을 가족한정으로 돌려두고, 경력인정자에 본인을 등록하시면 됩니다. 

그럼 몇년 뒤 차를 구매했을때 내 이름으로 보험에 가입하게 된다면 그동안의 경력이 인정되어서 할인을 받을수 있습니다. 

 

 

 

3. 차량이 2대 이상이라면?

내가 만약 소유하고 있는 차량이 2대 이상이라면 동일증권이란걸 알아보시면 좋습니다.

동일증권이란? 내가 갖고 있는 2대 이상의 차량을 한 보험사로, 보험 종료일을 맞춰 가입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동일증권으로 가입하면 사고 발생시 할증율이 내가기지고 있는 2대에 나뉘어져 할당되어 할증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좋습니다.

예를 들면, 1과 2의 차량이 각각 보험을 가입했고 1의 차량이 사고를 내서 할증 20%가 된다면 2차량도 동일하게 20%로 할증을 받게됩니다.

만약 동일증권으로 두 차량을 묶는다면 두 차량이 20%의 할증을 나눠갖기 때문에 Good!

1과 2의 차량이 각각 10%씩 할증이 적용되게 됩니다. 그래서 무조건 2대이상의 차량은 필히 동일증권으로 묶는것이 유리합니다.

 

 

 

4. 내 차를 다른사람이 운전하게 된다?!

 

나만 운전할 수 있는 차를 가족 또는 친구가 운전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가입한 보험사에 임시운전자 특약을 신청하면 됩니다. 

임시운전자 특약이란 누구나 운전할 수 있게 변경하는 것으로 

운전기간은 1일 단위로 지정이 가능합니다. 보험료도 1일 단위로 계산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임시운전자 특약가입일인데, 임시운전자 특약은 가입 일의 24시부터 적용이 되기 때문에 최소 하루전에는 가입을 해야 합니다. 

 

당일에 가입하면 당일은 보장이 안되니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시기를 놓쳐 당일에 가입을 해야 한다면 '더케이 원데이 보험'을 알아보셔도 좋습니다. 

 

 

 

 

5. 환입제도를 잘 활용하세요!

 

환입제도란 자동차 사고로 받았던 보험금을  다시 보험사에 납부하는 걸 이야기하는데요, 환입을 하게되면 보험처리했던 사고가 없었던것으로 처리가 되게 됩니다. 

이렇게 환입을 하는 이유는 보험료의 인상을 막기위해서 인데요

작은 사고가 났는데 보험처리를 하면, 실제 보상 받은 금액은 얼마 안되는데 이러한 작은사고 이력으로 다음해에 받을수 있는 할인혜택도 못받고 보험료만 오르게 됩니다. 

보험 처리로 인해 손해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있는것이 이 환입제도라는 것입니다. 

 

사고처리를 했는데 적은 비용만 발생했다면 다음해에 자동차보험 갱신할시 할증된 보험료를 먼저 체크해보고 도움이 된다면 환입제도를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